한경BP

도서

경제경영

  • 탐욕의 도둑들 (그 많던 돈은 어디로 갔을까)
    로저 로웬스타인 제현주

    《뉴욕타임스》, 《비즈니스위크》 베스트셀러 선정 월스트리트 경제 칼럼리스트 로저 로웬스타인의 르포타주 팩션 인간의 탐욕 불러온 금융의 종말, 그 불편한 진실을 파헤친다! 이 책은 글로벌 금융 붕괴의 역사를 한편의 소설처럼 스토리텔링을 빌려 매혹적으로 풀어내고 있는 팩션 형식의 리얼스토리다. 월스트리트 경제 칼럼리스트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저자는 최고위 정부 관료와 월가 CEO 등 당신 금융위기와 관계된 인물들을 180여 차례에 걸쳐 인터뷰한 끝...

  • 혼란기의 경영 (시대를 뛰어넘은 위기경영의 지혜)
    피터 드러커 박종훈, 이왈수

    경영자는 무엇을 할 수 있고, 무엇을 해야 하며, 무엇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가? 혼란기에 꼭 필요한 실행 능력과 전략의 중요성을 역설했던 피터 드러커의 역작! “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!” 21세기 격변하는 경영 환경의 메가트렌드를 분석, 격변과 위기에 대처하는 매니지먼트의 정수를 보여주다 경영 구루 피터 드러커의 ≪혼란기의 경영(Managing in turbulent times)≫이 한국경제신문 출판법인 한경BP에서 출간되었다. 급변하는 세계...

  • 새로운 성장동력 휴먼 (글로벌 인재포럼 리포트 2012)
    한국경제신문 특별취재팀

    창의적이고 경쟁력 있는 인재의 조건세계 최고의 석학과 전문가들이 미래의 인재상을 말하다. 더 나은 교육이야말로 최고의 복지!천연자원에 의존했던 산업시대와 달리 지식산업시대에는 새로운 자원이 필요하다. 아무리 퍼내도 마르지 않는 인적자원(human resources)이 바로 그 해답이다. 인적자원은 쓰면 쓸수록 더 풍부하고 탄탄해진다. 한국이 마땅한 천연자원 없이 고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도 인적자원 덕분이었다. 그 바탕에는 높은 수준의 교육과...

  • MB노믹스 숨겨진 진실
    차병석, 이심기, 서욱진, 류시훈

    MB노믹스 액션플랜은 성공했는가? MB정부의 경제정책과 그 숨겨진 이야기를 낱낱이 파헤치다 ◈ 당국 핵심 관계자 40여 명, 150여 시간 인터뷰 증언으로 재구성한 MB경제의 빛과 그림자! 한국기자협회 ‘이달의 기자상’(제266회)을 수상한 “비사(秘史) MB노믹스―이명박 정부 경제실록” 보도기사가 ≪MB노믹스 숨겨진 진실≫로 묶여 나왔다. 2012년 9~10월 두 달간 <한국경제신문>에 연재되었던 기획기사를 다듬고 보완해 새롭게 엮은 이 책은...

  • 2013 세계경제대전망
    이코노미스트 현대경제연구원

    장기 침체에 빠진 세계경제,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? 2013년 경제위기 해법과 세계경제 판도를 꿰뚫는 이코노미스트의 심층 진단 전 세계 청년 실업의 해법, 신(新)산업혁명의 도래, 유로전의 미래와 스마트시티의 탄생, 미국 대선 이후의 세계정세 변화 및 한국 대선의 향방, 2013년 국내 전망과 10대 주요 이슈 한국경제신문사가 《이코노미스트 2013 세계경제대전망》을 출간한다. 세계 각국의 정치, 경제, 문화를 심층 분석하여 미래 예측과 트렌드...

  • 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디서 오는가
    스티븐 존슨 서영조

    “탁월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탄생하고 완성되는가?” 구텐베르크에서 GPS에 이르기까지 700년 간 200개의 탁월한 아이디어를 연구ㆍ분석하여 끌어낸 7가지 패턴< 이 책은 탁월한 아이디어가 어떻게 탄생하는가에 앞서 어디서 나오는지, 즉 어떤 환경에서 나오게 되는지를 700년의 역사에서 발견한 7가지 패턴을 통찰력 있게 분석했다. 아이디어란 어느 순간에 반짝 생각나는 것이 아니다. 그렇다면 좋은 아이디어는 어떻게 생성되고 발전하는가? 일반적으로 탁...

  • 크래쉬
    로저 로웬스타인 이주형

    금융위기의 진실, 그리고 음모의 시작살다 보면 자기가 지금 하고 있는 일이나 주변 환경이 마치 이전에 경험한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. 대체로 “꿈속에서 본 적이 있는 것 같다”고 말하는데 이를 ‘데자뷰(deja vu)’ 현상이라고 한다. 10년 전 참혹했던 미국 신경제의 거품과 붕괴에 관해 서술하고 있는 이 책이 꼭 오늘날의 상황을 데자뷰하는 듯한 느낌이다. 그도 그럴 것이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 요즘 세계를 보자. 탐욕이 살아나고 있고, ...